2008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 남자 10m 플랫폼 싱크로나이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8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 남자 10m 플랫폼 싱크로나이즈는 2008년 8월 11일 중국 베이징 국가수영장에서 열렸다. 이 경기에서 중화인민공화국의 린웨와 훠량 조가 금메달, 독일의 파트리크 하우스딩과 사샤 클라인 조가 은메달, 러시아의 글레프 갈페린과 드미트리 도브로스코크 조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8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 - 2008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 여자 3m 스프링보드 싱크로나이즈
2008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 여자 3m 스프링보드 싱크로나이즈 경기는 2008년 8월 10일 베이징 국가수영장에서 개최되었으며, 중화인민공화국이 금메달, 러시아가 은메달, 독일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 2008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 - 2008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 여자 10m 플랫폼 싱크로나이즈
2008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 여자 10m 플랫폼 싱크로나이즈는 베이징 국가 수영 센터에서 열린 경기이며, 중국, 호주, 멕시코 조가 각각 금, 은, 동메달을 획득했다. - 올림픽 다이빙 남자 플랫폼 - 1904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 남자 플랫폼
1904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 남자 플랫폼 경기는 미국 세인트루이스에서 열린 올림픽 다이빙 종목 중 하나로, 조지 셸던(미국)이 금메달, 게오르크 호프만(독일)이 은메달, 알프레드 브라데(독일)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 올림픽 다이빙 남자 플랫폼 - 1912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 남자 플레인 하이다이빙
1912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 남자 플레인 하이다이빙은 10m와 5m 플랫폼을 번갈아 사용하며, 예선과 결승을 거쳐 스웨덴의 에리크 아들레르스가 금메달을 획득했다. - 올림픽 다이빙 - 1904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
1904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은 미국 세인트루이스에서 2개국 10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10m 플랫폼 다이빙과 거리 다이빙 두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미국이 종합 1위, 독일이 2위를 차지했다. - 올림픽 다이빙 - 1996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
1996년 애틀랜타 하계 올림픽 다이빙은 39개국 122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남자 및 여자 3m 스프링보드와 10m 플랫폼 총 4개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중국이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했다.
2008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 남자 10m 플랫폼 싱크로나이즈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 |
---|---|
2008년 하계 올림픽 | |
메달 수상자 | |
금메달 | 린웨 훠량 |
은메달 | 패트릭 하우스딩 사샤 클라인 |
동메달 | 글레프 갈페린 드미트리 도브로스코크 |
올림픽 다이빙 남자 10m 플랫폼 싱크로나이즈 | |
이전 대회 | 2004 |
다음 대회 | 2012 |
2. 경기장
2008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 남자 10m 플랫폼 싱크로나이즈 경기는 베이징에 있는 베이징 국가수영장에서 열렸다.[1]
도시 | 경기장 | 비고 |
---|---|---|
베이징 | 베이징 국가수영장 | 전 경기 |
2. 1. 경기장 정보
경기는 개최 도시인 베이징에 있는 베이징 국가수영장에서 열렸다.[1]도시 | 경기장 | 비고 |
---|---|---|
베이징 | 베이징 국가수영장 | 전 경기 |
경기는 중국 표준시 (UTC+8) 기준으로 2008년 8월 11일 월요일 14시 30분부터 15시 40분까지 진행되었다.
3. 경기 일정
3. 1. 경기 시간
경기 시간은 중국 표준시 (UTC+8) 기준이다.
4. 경기 결과
2008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 남자 10m 플랫폼 싱크로나이즈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1][2][3][4][5][6][7]
4. 1. 최종 순위
순위 | 선수 | 1차 | 2차 | 3차 | 4차 | 5차 | 6차 | 총점 |
---|---|---|---|---|---|---|---|---|
린웨 / 훠리앙 (중화인민공화국) | 57.00 | 59.40 | 89.76 | 86.40 | 86.70 | 88.92 | 468.18 | |
파트리크 하우스딩 / 사샤 클라인 (독일) | 52.80 | 54.00 | 86.70 | 71.28 | 88.74 | 96.90 | 450.42 | |
글레프 갈페린 / 드미트리 도브로스코크 (러시아) | 53.40 | 56.40 | 86.70 | 88.32 | 70.38 | 90.06 | 445.26 | |
4 | 매슈 헬름 / 로버트 뉴베리 (오스트레일리아) | 52.80 | 53.40 | 84.66 | 72.00 | 89.64 | 92.34 | 444.84 |
5 | 데이비드 보디아 / 토머스 핀첨 (미국) | 51.60 | 54.60 | 80.58 | 82.62 | 77.76 | 93.48 | 440.64 |
6 | 빅토르 오르테가 / 후안 우란 (콜롬비아) | 46.80 | 52.80 | 82.62 | 79.68 | 81.18 | 80.58 | 423.66 |
7 | 호세 구에라 / 에리크 포르나리스 (쿠바) | 49.80 | 48.00 | 79.56 | 71.04 | 75.48 | 85.50 | 409.38 |
8 | 블레이크 올드리지 / 톰 데일리 (영국) | 52.80 | 50.40 | 72.96 | 75.24 | 77.52 | 79.56 | 408.48 |
5. 메달리스트
훠리앙
사샤 클라인
드미트리 도브로스코크